한의임상해부학회·FCU 공동 연구, SCIE 국제학술지 ‘Medicina’ 게재
한의약진흥원 한의약 전주기 지원체계 사업 성과로 주목


▲ 좌측부터 권오빈 회장, 임정태 교수, 김광호 원장, 이영웅 원장, 김철현 교수, 추홍민 원장
[한의신문] 경추 근막통증증후군(Cervical Myofascial Pain Syndrome, CMP) 환자에게 초음파를 이용한 약침 시술의 임상적 유효성과 안전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Effectiveness and Safety of Portable Ultrasound-Guided Pharmacopuncture for Cervical Myofascial Pain Syndrome-A Prospective Observational Multi-Center Study(경추 근막 통증 증후군에 대한 포터블 초음파 활용 약침의 효과와 안전성-전향적 관찰 다중 센터 연구, doi: 10.3390/medicina61081371)’라는 제하의 연구논문은 지난달 29일 SCIE급 국제학술지 ‘Medicina(IF=2.4)’에 게재됐다.
한의임상해부학회(회장 권오빈)와 ㈜FCU가 공동으로 수행한 이번 프로젝트는 한국한의약진흥원이 추진한 ‘한의약 산업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 다기관 전향 관찰 연구로, 김철현 원광대 광주한방병원 교수가 공동연구기관 총괄로 주도했으며, 임정태 원광대 한의대 진단학교실 교수팀에서 연구디자인을 협력했다.
이번 연구에는 총 7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특히 일차의료기관 중심의 데이터 수집과 통합 분석이 이뤄졌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는데, △원광대 광주한방병원(김철현 교수) △진접한양병원(권상혁 원장) 등의 한방병원을 비롯해 △강녕한의원(이영윤 원장) △광화문경희한의원(홍현준 원장) △문래마주봄한의원(박성준 원장) △마포홍익한의원(추홍민 원장) △안중한의원(권준휘 원장) 등 한의원(일차의료기관) 5곳이 포함됐다.

초음파 활용 약침술, 통증 개선 및 기능 회복서 유의한 효과
연구팀은 경추 근막동통 환자 총 97명을 대상으로, △초음파 활용 약침술(UGP) △촉진만으로 시행한 비활용 약침술(NGP)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통증 지수(Numeric Rating Scale, NRS)는 UGP군에서 유의하게 감소(5.84점→2.76점)했으며, 이는 NGP군의 감소(6.09점→ 4.47점)와 비교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 < 0.001)를 보였다.
또한 경추 가동범위(Range of Motion, ROM) 측정 결과에서도 신전(Extension)과 병변측 회전(Rotation on affected side)에서 UGP군이 유의한 향상(p < 0.01)을 보인 반면 전굴(Flexion)과 측굴(Lateral Flexion) 항목에서는 양군 모두 호전 양상을 보였으나 군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 기간 동안 발생한 이상반응은 모두 경미하거나 없었으며, 시술의 안전성 측면에서도 충분한 임상적 근거를 확보한 것으로 분석됐다.

“표준화된 프로토콜 기반 연구모델, 한의학 임상근거 확립의 새 전환점”
연구팀은 “시술은 사전에 통일된 교육 프로그램과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진행됐으며, 단기 추적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정밀한 데이터 수집이 가능했다”며 “이는 기존 시술의 편차와 표준화 부족 문제를 극복하고, 임상 현장에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연구모델을 수립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연구는 초음파 활용 약침술(UGP)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전향적 다기관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것으로, 학술적으로도 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번 연구는 앞서 SCIE급 학술지 ‘Pubmed’에 게재된 프로토콜 논문 ‘Ultrasound-Guided vs Non-Guided Pharmacopuncture for Cervical Myofascial Pain Syndrome: A Multi-Center Prospective Comparative Study Protocol(김광호 외, www.doi.org/10.2147/JPR.S509236)’의 후속연구로, 해당 프로토콜을 실제 임상 현장에 적용해 수집된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는 점에서도 학술적 가치가 높다고 평했다.
권오빈 회장은 “한의약진흥원의 전주기 지원체계를 기반으로 마련한 이번 연구모델은 일차의료기관 기반 연구에서 중요한 사례를 제시했다고 생각한다”면서 “2025년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사업을 통해 더 다양한 연구 성과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일차의료기관 중심의 전향적 임상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으로, 이는 임상현장의 시술 표준화와 근거 기반 한의치료 확산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출처 : 한의신문(https://akom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