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의과대학 강형원 학장] 대입 수험생을 위한 알아차림 명상
[한의과대학 강형원 학장] 대입 수험생을 위한 알아차림 명상
한의과대학2022-05-11

4월의 원광대 캠퍼스는 꽃들의 향연입니다. 캠퍼스 중앙의 수덕호 분수대와 어우러져 서둘러 피고 지는 목련 꽃에 이어 벚꽃이 캠퍼스를 밝고 생동감 넘치게 합니다. 코로나로 인해 해를 거듭하는 거리두기에도 성실한 봄의 일상은 막지 못하고 우리들 곁으로 어김없이 왔습니다. 고맙고 반갑습니다.
캠퍼스 곳곳엔 이런 모습과 닮은 것이 또 있습니다. 새 학기 새내기들이 바로 그 주인공들이지요. 대학의 새내기들은 봄의 꽃이고 희망입니다. 수줍게 혹은 환하게 웃고 있는 학생들 사이를 지나칠 때면 먼저 다가가 인사를 건네고 싶습니다. 그리고 오래도록 그들의 가슴속에 담긴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습니다. 캠퍼스의 봄이 저절로 오지 않는 것처럼 그들의 걸음 속엔 보이지 않는 수 없는 발자국이 켜켜이 쌓여있을 테니까요.

이미 저는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오고 있었습니다. 진료실에는 새내기가 되기 전 봄을 기다리는 학생들이 많이 오고 갑니다. 고3 수진(가명)이도 그런 학생이었지요. 3월 모의고사를 본 후 심각한 표정으로 엄마랑 함께 진료실을 찾았습니다. 얼마나 울었는지, 아직도 눈이 충혈되고 부어있었습니다. 고개만 숙이고 말을 잇지 못하는 수진(가명)이에게 진료실 책상 위에 놓인 A4용지와 연필을 건네며 지금 힘든 것을 방으로 표현하도록 하였습니다. 눈물을 훔치고 한참을 바라보더니 연필을 꾹 눌러 ‘실패’… ‘절망‘… ‘미래×’… 이렇게 하나하나의 방을 만들고 이름을 적기 시작했습니다. 그려놓고 보니 실패, 절망, 미래 없음이 마음의 90% 이상을 차지한다고 하였습니다. 이제 마음의 방을 좀 떨어져서 보게 했지요. 가만히 바라보더니 눈물을 뚝 그치고 눈을 동그랗게 뜨고 뭔가를 알았다는 듯이 고개를 끄덕끄덕하기 시작했습니다.

수진(가명)이는 열심히 노력한 것에 비해 훨씬 못 미치는 성적이 나오자 미래는 없다며 크게 절망하고 모든 걸 포기하고 싶은 맘이 들었다고 합니다. 기대하시는 엄마 아빠에게 면목도 없다고 했습니다. 엄마는 괜찮다고 해도 위로가 되지 않았나 봅니다.
절망의 순간 절망에 지배당하게 됩니다. 오로지 힘든 감정과 기분이 나의 모든 것을 지배해 버립니다. 계속 그 힘든 방에서 허우적대다 보니 늪에 빠진 듯 점점 더 빠져들게 됩니다. 내 안에 괜찮았던 다른 방들은 다 배경 처리되어 보이지 않고 매몰되어 버립니다. 바로 그 엄습 당한 방은 증상의 방이 되어 버립니다. 그게 우울이면 우울증이 되고 불안이면 불안증이 되며 분노는 화병, 분노조절장애가 되는 것입니다.
잠시 멈추고 바라만 봐도 비로소 보이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 속에 있을 때는 늪에 빠진 양 허우적대지만, 떨어져 내 모습을 보고 있으면 다른 것도 보이기 시작합니다. 이렇게 내 안의 문제를 한 발자국 떨어져 객관화하고 구체화하는 과정을 ‘마인드풀니스(Mindfulness)’, 우리말로는 마음 챙김 혹은 알아차림 명상이라고 합니다.
명상에는 두 가지 중요한 키워드가 있습니다. ‘집중’과 ‘알아차림’입니다. 집중해서 뭔가 알아차린 것이 있으면 그것을 명상 상태라고 합니다.
그럼 무엇에 집중할까요?. 그것은 ‘지금 이 순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금 이 순간’에 머무른다는 것은 과거의 것도 가져오지 않는다는 것이고, 미래의 불안도 가지고 오지 않는 것입니다. 오로지 ‘지금 이 순간’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있는 그대로’ 본다는 것은 속단하지도, 단정 내리지도, 결론 내리지도 않고 오로지 지금의 현상만 그대로 본다는 것입니다. “이번 시험 성적이 몇 점이구나”, “이것에 내가 크게 절망하고 있구나”, “그만큼 내가 힘들어진 거구나” 라고 말이지요. “내 미래는 이제 끝났어”, “나는 실패했어”로 단정 짓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지금 이 순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연습은 ‘집중명상’에 중요한 개념입니다. 시험불안으로 평소 실력보다 못하게 나는 경우도 ‘집중명상’은 도움이 됩니다. 들숨과 날숨을 따라가다 보면 머릿속을 맴돌고 있는 불안과 걱정은 뒤로하고 어느새 호흡이 안정되고 마음이 편해지고 생각이 잠잠해집니다. 이것을 ‘호흡명상’이라고 합니다. 즉, 호흡에 집중해서 지금 이 순간 있는 그대로 따라가는 연습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명상의 궁극적인 목적은 이완이 아닙니다. 이완은 명상의 결과이지 목적이 아닙니다. 답답하고 엉켜있는 마음이 천천히 걷다 보면 바닥에 닿는 느낌을 느끼고 새소리, 나뭇잎 소리, 상쾌한 공기를 느끼다 보면 알아차려지는 무엇이 있습니다. 그것을 그대로 되새기며 묵상하는 사이 내 몸과 마음은 이완되고 안정됩니다. 이것은 ‘걷기명상’입니다.
걸어가면서도 명상이 가능하듯, 앉아서 공부하는 것 또한 명상으로 시작해서 명상으로 끝낼 수 있습니다. 공부 시작 전 잠시 앉아있는 자리에서 살짝 눈을 감고 호흡을 천천히 조절하고 들숨과 날숨을 따라가면 호흡명상이 되고, 뒷목, 어깨, 등, 엉덩이, 발바닥 그리고 다시 아랫배, 가슴, 이마 한가운데 이렇게 신체 주요 부위에 집중하는 사이 알아차려진 무엇이 있으면 그게 ‘신체감각 명상’이 됩니다. 공부가 끝나고 잠시 머릿속 공부한 것을 호흡과 함께 정돈하는 시간을 가지면 기억력, 암기력에도 도움이 됩니다.
이렇듯 공부하기 전, 후에 하는 3분 명상은 공부의 질뿐만 아니라 심신 건강에 유익한 방법이라는 것은 근거 기반의 실험, 임상 연구에서 이미 알려진 사실입니다. 정작 내게 유익이 되는 사실은 경험을 통해서 가능해집니다. 공부하기 전후 5분 명상은 지치고 힘든 수험생들 자신에게 주는 큰 위로이자 선물입니다.
공부할 분량만으로 할 것이 많은데 정신건강을 위해서 또 하나 이런 거 해보라고 숙제를 주는 것이 아닙니다. 긴 시간 공부의 양으로 지칠 마음을 관리하는 방법은 공부의 균형을 유지하게 도울 것입니다. 적당한 긴장은 성과와 능률에 도움이 되지만, 과도한 긴장은 실력 발휘에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어떤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평정심을 누릴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로 지금 이 순간 있는 그대로 바라는 보는 알아차림 명상의 정수입니다.

마음을 챙기는 명상에 대해서는 한의학의 고전인 동의보감도 그 내용과 방법이 구체적으로 소개되어 있습니다. 마음은 ‘심(心)’이라고 하여 마치 물과 같다고 하였습니다. 물이 쏜살같이 흐를 때는 밑바닥을 볼 수 없지만, 흐르지 않고 오래 있으면 맑아져서 그 밑바닥을 볼 수 있는 것과 같다고 했습니다. 이것을 영명(靈明)이라고 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명상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잠시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이것이 내 마음 밑바닥에서 올라오는 것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것입니다.
마음은 정신을 말하는데, 정신의 어원은 원래 정기신(精氣神)에서 왔습니다. 정기신에서 기가 생략된 것을 정신이라고 했습니다. 보이지 않지만, 정신작용의 큰 역할을 하는 게 기(氣)입니다. ‘기가 막히다’, ‘기분이 좋다’, ‘기가 통한다’ 등 우리말에 기라는 용어는 일상용어가 될 정도로 가깝게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정기신에서 정은 몸의 근본이고 기는 정신을 주관한다고 했습니다. 형체 즉, 몸뚱어리는 정신이 거하는 집과 같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얘기하길 사람이 산다는 것은 정신이 있기 때문이고 형체를 유지하고 있는 것은 기가 있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정신이 없으면 사는 게 사는 게 아니고, 기가 없으면 우리가 걸어 다니고 손짓, 발짓, 표정 짓기, 말하기 등 이런 것을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기는 몸과 마음을 연결해 주는 매개체 역할을 하고 에너지, 활동성을 나타냅니다.
인체의 기의 흐름은 호흡을 통해서 가장 잘 느낄 수가 있습니다. 공포스러운 일을 당하면 우선 호흡이 멈추고 급기야는 들숨과 날숨이 원활하지 않으며 혼란스러워집니다. 화나가면 호흡도 거칠어지고 우울하면 호흡하는 힘이 약해집니다. 기쁘면 호흡이 먼저 편안해집니다. 이렇게 기의 작용이 호흡으로 나타나고 감정의 상태를 반영합니다. 모든 명상의 기본이 호흡명상인 이유입니다.
호흡은 오케스트라의 지휘자와 같아서, 호흡이 안정되면 맥박, 혈압, 체온 등 나머지 활력징후들이 안정되고 오장 육부가 편안해집니다. 활력징후 중 호흡만이 유일하게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가 있습니다. 신이 인간에 준 최고의 선물인 호흡은 생명이요, 정신의 처음과 끝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렇게 호흡명상을 기본으로 한 집중 명상, 걷기 명상, 신체감각 명상, 5분 명상 모두 인간이 원래 가지고 있는 근원적인 2가지 힘 중 알아차림의 힘에 기반을 둔 명상법입니다.

원래 인간이면 가지고 있는 또 하나의 힘은 존재론적 사랑의 힘입니다. 태어나는 순간 가장 소중하고 괜찮은 존재로 선언되었습니다. 동의보감의 첫 시작도 “우주에서 가장 존귀한 존재가 인간이니”라고 하늘에서 울려 퍼지는 선언적인 메시지로 시작합니다. 내 안에 그 사랑의 힘이 있음을 믿고 그걸 확인하고 경험하는 과정이 곧 치유의 과정입니다. 이렇게 모든 치유의 과정은 이 알아차림의 힘과 사랑의 힘 두 가지 힘의 경험에서 시작됩니다.

봄을 기다리며 열심히 노력하는 여러분은 이미 모두 존귀한 존재입니다. 명상이 여러분의 바쁜 일상에 작은 힘이 되기를 바랍니다.

[출처:대입정보매거진]

수험생을 위한 알아차림 명상 가이드

우선 내 몸이 원하는 편안한 자세를 찾아봅니다.
등을 펴고 손을 가볍게 무릎 위에 얹습니다.
그리고 최대한 몸에 힘을 빼봅니다.
양어깨에 힘이 빠지고 두손, 손가락도 그대로 내려놓습니다.
내 몸이 이완되어 가는 것을 그냥 있는 그대로 느껴보고
내 몸이 이렇게 느슨해 지는 것을 알아차립니다

이번에는 잠시 호흡으로 의식을 가져가 봅니다.
자연스러운 형태로 들이쉬는 숨과 내쉬는 숨의 흐름을 느껴봅니다.
들이쉬는 숨이 어디까지 들어가는지 따라가보고
깊은 곳에서부터 쭈욱 따라 나오는 숨길을 느껴봅니다.

이번에는 들숨때 배의 움직임을 관찰합니다.
배가 나오는지 들어가는지…
날숨때 배가 들어가는지 나오는지…
이렇게 들숨, 날숨때마다 배의 움직임을 천천히 관찰합니다.

이것은 나의 호흡입니다. 이것은 나의 숨길입니다.
하루도 쉬지않고 일분도 쉬지않고 내 생명을 유지해준 나의 호흡입니다.
내 호흡은 이렇게 안정되어있습니다.
내 숨길은 이렇게 안정되어있습니다.
이것은 나의 호흡입니다.

천천히 호흡을 따라가다 깊은 호흡을 두 번하고 눈을 뜹니다.